응씨배 바둑 중계
바둑계의 올림픽이라고 불리는 대회가 진행중에 있으며 이제 본격적인 16강 본선 대국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과연 한국 선수들은 어떤 결과를 만들어 낼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오늘은 세계프로바둑 응씨배 중계 및 경기결과 우승상금 등 다양한 정보 그리고 한국 선수들의 멋진 플레이를 기대하며 정보 공유를 해드리겠습니다.
대국 안내
대회일정: 2024년 7월 3일부터 10월 28일까지
대회장소: 중국 상하이, 닝보
주최/주관: 중국바둑협회
응씨배는 '바둑 올림픽'이라고 불리며, 세계 최고의 바둑 기사들이 모여 실력을 겨루는 대회입니다. 대만의 부호이자 바둑 애호가인 잉창치 선생이 창설한 이 대회이며 세계 최대 우승상금 및 상금이 걸려있는 대회입니다.
대국 일정 세부 안내
16강전
날짜: 2024년 7월 3일
장소: 중국 상하이
세부사항: 28강전에서 승리한 14명과 전기 우승자 신진서 9단, 준우승자 셰커 9단이 합류하여 대면 대국으로 진행됩니다.
8강전
날짜: 2024년 7월 4일
장소: 중국 상하이
세부사항: 16강전을 통과한 8명의 기사들이 맞붙습니다.
4강전
날짜: 2024년 7월 6일, 8일, 9일 장소: 중국 닝보
세부사항: 3번기 대국으로 진행되며, 승리한 두 기사는 결승전에 진출합니다.
결승전
날짜: 2024년 8월 12일, 13일, 10월 24일, 26일, 28일 장소: 미정
세부사항: 5번기 대국으로 진행되며, 최종 우승자를 가립니다.
응씨배 바둑 우승상금
우승 상금: 40만 달러 (약 5억 5,400만 원) 준우승 상금: 10만 달러 (약 1억 3,850만 원) 4강 패자: 2만 5,000달러 (약 3,462만 원) 8강 패자: 1만 5,000달러 (약 2,077만 원) 16강 패자: 5,000달러 (약 692만 원) 28강 패자: 1,200달러 (약 166만 원) 56강 패자: 800달러 (약 111만 원)
한국 16강 진출 선수 명단
신진서 9단, 박정환 9단, 신민준 9단, 원성진 9단, 김진휘 7단 특이사항: 신진서 9단은 전기 우승자로 시드를 받아 16강에 직행하였으며, 나머지 4명은 온라인 대국에서 승리하여 16강에 진출했습니다.
출전선수 국가별 안내
한국: 5명 (신진서, 박정환, 신민준, 원성진, 김진휘) 중국: 9명 (셰커, 커제, 리쉬안하오, 왕싱하오, 쉬자양, 리친청, 랴오위안허, 펑리야오, 류위항) 일본: 1명 (이치리키 료), 대만: 1명 (쉬하오훙)
대회 방식 및 진행방식
본선: 56강 단판 토너먼트
준결승: 3번기
결승: 5번기
제한시간:
56강 ~ 28강: 각자 2시간
16강 ~ 준결승: 각자 2시간 30분
결승: 각자 3시간 30분
추가시간: 제한시간 소진 시 벌점 2점을 대가로 20분 추가 가능, 최대 3번까지 사용 가능
대국 규정
특별 규정: 잉씨룰 적용
계가 방식: 점으로 표현하며, 흑이 8점을 공제 시간 초과: 벌점 2점 공제 후 20분 추가, 최대 3번 가능, 세 번째 초과 시 시간패
박정환 및 신진서에 대한 기대
박정환 선수의 경우 두 차례 준우승의 아쉬움을 털어내고 이번 대회에서 우승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우선 16강에서 8강 그리고 준결승에 진출하길 기대하고 있습니다.
신진서 9단: 전기 우승자로서 2연패에 도전하고 있으며, 최근 메이저 대회인 lg배 에서의 패배를 딛고 재도약을 노리고 있습니다.
응씨배 바둑 중계 및 8강 4강 안내
이번 응씨배 바둑 중계 및 경기 결과는 다양한 스트리밍 사이트를 통해 시청 및 확인 가능하겠습니다. 네이버 바둑 TV및 바둑 TV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시청이 가능하니 많은 기대와 응원을 부탁 드립니다.
16강전: 7월 3일
8강전: 7월 4일
준결승전: 7월 6일, 8일, 9일
결승전: 8월 12일, 13일, 10월 24일, 26일, 28일
정리 요약
제10회 응씨배 세계프로바둑선수권대회는 세계 최고의 바둑 기사들이 모여 실력을 겨루는 대회입니다. 16강에는 한국에서 5명의 선수가 진출하였으며, 중국, 일본, 대만의 기사들과 치열한 경쟁을 펼치게 됩니다. 박정환과 신진서의 활약이 기대되며, 대회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생중계될 예정입니다.